Loading...
2022. 10. 9. 22:42

필요한 위치에 삽입하면서 정렬하는 삽입정렬(insertion sort)

1. 개요 선택 정렬은 실제 사용하기에는 매우 느린편이다. 그렇다면 다른 접근 방법은 없을까?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면서 각 데이터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면 어떨까?" 삽입 정렬은 선택 정렬처럼 동작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지만, 구현 난이도가 더 어려운데, 하지만 선택 정렬에 비해 실행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이라고 알려져있다 특히 삽입 정렬은 필요할 때만 위치를 바꾸므로 "데이터가 거의 정렬되어 있을때" 매우 효율적이다 선택 정렬은 현재 데이터의 상태와 상관없이 무조건 모든 원소를 비교하고 위치를 바꾸는 반면, 삽입 정렬은 그렇지 않다 삽입 정렬은 특정한 데이터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한다는 의미에서 삽입 정렬(insertion sort)이라고 부른다. 더불어 삽입 정렬은 특정한 데이터가 적절한 위치..

2022. 10. 9. 20:43

거품이 올라오는 것처럼 정렬하는 bubble sort(버블 정렬)

1. 개요 인접한 두개의 원소를 비교하면서 자리를 계속 교환하면서 정렬하는 알고리즘 첫번째 원소부터 인접한 원소끼리 계속 자리를 교환하면서 맨 마지막 자리까지 이동 한 단계가 끝나면, 가장 큰 원소가 마지막 자리로 이동함 교환하면서 자리를 이동하는 모습이 물 위에 올라오는 거품 모양과 같다고 하여 버블 정렬이라고 부름 2. 예시를 통해 이해하는 버블 정렬 55, 7, 78, 12, 42를 정렬한다고 생각해보자. 먼저 55와 7을 비교하여, 55가 더 크니까 자리를 바꾼다. 다음 55와 78을 비교하여, 78이 더 크니까 자리를 바꾸지 않는다. 다음 78과 12를 비교하여 78이 더 크니까 자리를 바꾼다 마지막으로 78과 42를 비교하여, 78이 더 크니까 자리를 바꾼다. 그러면 배열에서 가장 큰 원소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