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3. 12. 31. 02:05

18장 평균과 중앙값의 차이

1. 서론 통계학은 과학의 한 분야이다. 그런데 통계학에는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등 다른 자연과학과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바로 통계적 추론이다. 물리학적 추론, 생물학적 추론, 화학적 추론이라는 말은 없다. 그러나 통계적 추론이라는 말은 있다. 왜 그럴까? 물리학은 자연의 법칙을 설명한다. 물리학 이론이 맞는지 아닌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자연이라는 심판자에 의존한다. 화학도 생명과학도 대기과학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통계학의 심판자는 누구일까? 데이터를 분석해 계산한 예측의 성공 여부가 심판자일까? 이것은 낚싯대와 물고기를 혼동한 대답이다. 분석의 결과가 물고기라면 그 물고기를 낚은 낚싯대가 통계학이다. 자연이라는 심판자가 없기에 통계학은 자신의 성과를 평가해줄 새로운 심판이 필요하다. 이 심판 과정..

2022. 2. 21. 20:42

표집분포(sampling distribution)와 표본분포(sample distribution)

1. 모집단이란?(population) 연구자가 관심있어하는 주제를 모두 나타낼 수 있는 개인이나 어떤 값의 전체 모임 대한민국 사람들의 평균키를 조사하고 싶을 때? 전체 대한민국 사람들이 모두 대상이 되는데 이것이 population distribution ----------------------------------------------------------------------------------------------------------- 모집단은 생각보다 미묘한 개념일 수 있다 어떤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모집단에는 3가지 유형이 있다 1) 말 그대로의 모집단: 한 예로 여론조사에서 무작위로 한 명을 뽑는, 확인 가능한 집단이 있다. 관측 가능한 개인들로 구성된 집단도 여기에 해당한다. 실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