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사결정나무, 단순하지만 강력하다 강남역의 교통 체증을 예측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조건에 따라 분기하는 모델인 의사결정나무를 만드는 겁니다. 우리가 어릴 때 하던 스무고개놀이와 비슷합니다. 스무고개놀이란 말 그대로 예 혹은 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질문을 스무번 제시하여 정답을 알아맞히는 놀이입니다. 질문의 횟수는 적을수록 좋습니다. 그렇다면 가급적 정답을 빨리 맞힐 수 있는 질문을 제시해야겠죠. 어떻게 질문을 구성해야 할까요? 2. 정답을 가장 빨리 찾는 질문은...? 의사결정나무를 구축할 때는 복잡도인 엔트로피(entropy)를 낮추는 형태로 진행합니다. 복잡도는 다르게 표현하면 불확실성의 정도(uncertainty)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엔트로피가 낮아지면 복잡도와 불확실성이 줄어듭니다. 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