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23. 8. 7. 03:56

최소 공통 조상(Lowest Common Ancestor,LCA)문제 기본 해법 배우기1

https://www.youtube.com/watch?v=O895NbxirM8&list=PLRx0vPvlEmdAghTr5mXQxGpHjWqSz0dgC&index=15   https://www.crocus.co.kr/660 LCA(Lowest Common Ancestor) 알고리즘LCA(Lowest Common Ancestor) 알고리즘이란? LCA 알고리즘이란 영어 해석 그대로 최소 공통 조상을 찾는 알고리즘이고, 두 정점 u, v(혹은 a, b)에서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찾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들어www.crocus.co.kr https://kibbomi.tistory.com/201 최소 공통 조상 (LCA, Lowest Common Ancestor)(C/C++)여러 자료를 참조하면서 LCA를 공..

2023. 2. 19. 22:07

컴퓨터로 한붓그리기 하는 방법 - 오일러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1. 문제 16168번: 퍼레이드 (acmicpc.net) 16168번: 퍼레이드 첫 번째 줄에 지점의 개수 V, 연결 구간의 개수 E가 주어진다. (1 ≤ V ≤ E ≤ 3000) 이후 E개의 줄에 걸쳐 각 연결 구간이 연결하는 두 지점의 번호 Va, Vb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Va, www.acmicpc.net 2. 오일러 경로(eulerian trail) "모든 변을 단 한번만 지나서 주어진 그래프를 완성할 수 있는가"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1번만 지나서 모든 정점을 방문하는 연속된 경로를 오일러 경로라고 부른다 혹은 한붓그리기라고도 불린다. 위와 같이 정점은 여러번 지나도 상관없다 위와 같은 그래프는 오일러 경로가 존재하는 그래프이다. 특히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오일러 경로는 ..

union find 재활훈련 - union by size 복기하기

1. 문제1 4143번: Bridges and Tunnels (acmicpc.net) 4143번: Bridges and Tunnels The first line of input contains one integer specifying the number of test cases to follow. Each test case begins with a line containing an integer n, the total number of bridges or tunnels built. This number will be no more than 100,000. We assume that al www.acmicpc.net 2. 풀이1 서로 연결되는 간선이 주어질때마다 각 노드의 집합 크기를 구하는 문제 find..

union find 응용문제 풀어보면서 분리집합 개념 재활하기

1. 문제 16562번: 친구비 (acmicpc.net) 16562번: 친구비 첫 줄에 학생 수 N (1 ≤ N ≤ 10,000)과 친구관계 수 M (0 ≤ M ≤ 10,000), 가지고 있는 돈 k (1 ≤ k ≤ 10,000,000)가 주어진다. 두번째 줄에 N개의 각각의 학생이 원하는 친구비 Ai가 주어진다. (1 ≤ Ai ≤ 10, www.acmicpc.net 2. 풀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먼저 union find 함수를 작성하자 먼저 parent를 찾는 find함수 def find_parent(x,parent): if x != parent[x]: parent[x] = find_parent(parent[x],parent) return parent[x] 다음 union을 수행하는 함수 def ..

union find 최적화 - union by size 배우기

1. 문제 4195번: 친구 네트워크 (acmicpc.net) 4195번: 친구 네트워크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친구 관계의 수 F가 주어지며, 이 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다. 다음 F개의 줄에는 친구 관계가 생긴 순서대로 주어진 www.acmicpc.net 친구관계인 간선이 주어질때마다 각 사람(노드)에 속한 집합의 크기를 구하는 문제 2. 풀이 이 문제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일단 노드 수가 주어지지 않는다.. 간선의 수 f만 주어지는데.. 이럴 경우 최대 노드 수는 2f개 일 것이다. 사실 최대 노드 수만 알아도 문제를 푸는데 상관이 없다. 왜냐하면 union이 일어날때마다 각 노드에 속한 집합의 크기만 구하면 되니까 parent = [..

2022. 10. 2. 02:45

최대힙, 최소힙 직접 구현하기

1. 힙(heap) 프로그램 실행중에 내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양이 변할 수 있는 경우, 그 때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을 힙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는 자료구조를 말한다. 기본적으로 "완전 이진 트리"를 이용한 자료구조이다. 특히 "완전 이진 트리"에 있는 노드 중에서 키값이 가장 큰 노드나 가장 작은 노드를 찾기 위해 특별히 만든 자료구조 완전 이진 트리니까, n개의 노드가 주어진다면 길이 n+1의 단순 배열로 저장할 수 있다 처음에 만들때, 키값이 가장 큰 노드를 찾는 자료구조를 만들 것이냐, 키값이 가장 작은 노드를 찾는 자료구조를 만들 것이냐,를 정하고 들어간다. 2. 최대힙(max heap)과 최소힙(min heap) 2-1) 최대힙(max heap) 키값이 가장 큰 노드를 찾기 위한 완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