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variable), 리스트(list), 딕셔너리(dictionary) 맛보기

1. 변수(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크게 숫자, 글자, 참/거짓 등을 저장할 수 있다

 

 

1-1) 숫자

 

현실의 모든 숫자들

 

자연수, 음수, 실수,... 심지어 파이썬은 복소수까지도 가능함

 

기본적인 수학연산이 가능

 

120, -365, ... , 3.141592,...

 

 

1-2)글자

 

현실의 모든 글자들

 

반드시 따옴표로 둘러싸야 글자로 인식함

 

여기서 따옴표는 작은따옴표(' ')나 큰따옴표(" ")

 

하나의 코딩파일에서 통일하는게 좋다

 

숫자도 ' '으로 둘러싸면 글자로 인식

 

58은 숫자이지만 '58'은 글자

 

"미세먼지" , "58도 글자입니다."

"58" , "글자는 반드시 따옴표를 붙여야합니다!!"

 

 

1-3) 참/거짓

 

True, False

 

프로그램 제어(조건, 반복 등)에 주로 사용함

 

혹은 식의 결과

 

예) 300 > 200 >>> True

 

150 == 161 >> False

 

--------------------------

 

프로그래밍에서 ==은 비교연산 vs. =은 할당연산

 

a == b는 a와 b가 같은지 비교하고 a = b는 a에 b를 할당함

 

 

2. 변수 예제 코드

 

type()함수 : 해당 변수가 무슨 종류인지 알려줌

 

<class 'str'> 은 문자

 

<class 'int'> 는 숫자(정수)

 

#을 이용해서 주석처리를 함

 

프로그램 실행시 무시하며 코드에 대한 설명을 달아준다

 

복잡한 코딩일수록 습관을 들여야함

 

print('python')

#변수 생성, #할당연산자 =

dust = 60
print(dust)

#숫자
number1 = 12
number2 = -365
number3 = 3.14

print(number1)
print(number2)
print(number3)

#number1과 number2의 합을 number4에 넣음
number4 = (number1 + number2)
print(number4)

#*은 곱하기, /은 나누기

print(number1*number3)
print(number1/number2)

#글자
#''나 "" 모두 가능하나 둘중 하나로 통일하는게 보기 좋다
string1 = '미세먼지'
print(string1)

#반드시 ''으로 둘러싸야 문자로 인식함
#변수 함수이름으로 인식함

string2 = 미세먼지 #미세먼지라는 변수를 만든적이 없어서 에러
print(string2)

#숫자도 ''으로 둘러싸면 문자로 인식

string3 = '52'
print(string3)
print(type(string3)) #변수의 값이 어떤 종류인지 알려주는 함수 type()
print(type(number1)) #str:string, 문자열/ int:integer 정수

#참/거짓

boolean1 = 300 > 200
boolean2 = 150 == 161 #==은 일반적으로 아는 같은지 비교하는 연산자 vs. =은 할당연산자
boolean3 = True

print(boolean1) #True
print(boolean2) #False
print(boolean3)

 

3. 리스트(list)

 

여러개의 값을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리스트에서 원소들의 위치를 index라고 부른다

 

이 위치는 0부터 센다는 것이 중요하다

 

0번부터 (리스트의 길이)-1까지 있다

 

 

4. 리스트 예제코드

 

저장된 값들은 , 로 구분함

 

리스트 안에 있는 값을 불러오고 싶을 때는 dust[(불러오고 싶은 원소의 위치)]

 

예를 들어 3번 위치의 원소는 dust[3]으로 불러온다

 

당연하지만 위치 범위를 벗어난 값을 []에 넣으면 에러남

 

 

#리스트 선언하기

#여러개의 값을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

#값들을 구분할때는 ,로 구분

#리스트 안에 있는 값의  위치(인덱스)는 0부터 시작함

#예) 1번 위치는 40, 7번 위치는 50

#인덱스의 범위는 0부터 시작해서 (리스트의길이-1)

dust = [58,40,70,60,120,54,23,50]

#리스트안에 있는 값 불러오기
#대괄호를 이용해서 dust[위치]

number1 = dust[7] #dust내에서 7번째 있는 값을 가져온다
print(number1)

#범위를 벗어난 값을 불러올 경우
print(dust[8]) #index out of range error

 

----------------------------------------------------------------------------------------------------------------------------------------

 

리스트를 이용하여 점심식사 메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활용하여 점심식사 메뉴 출력하기

#[] 사용해서 리스트를 만들고 ,를 이용해서 구분

lunch = ['소고기미역국','뼈해장국','함박스테이크','애호박찌개','참치볶음밥','제육볶음']

print(lunch)

print(lunch[0]) #소고기미역국
print(lunch[3]) #애호박찌개

print(lunch[6]) #리스트의 원소의 수가 6개이면 리스트 인덱스의 범위는 0~5라서 에러

 

 

5. 딕셔너리(dictionary)

 

여러개의 값을 저장하는데 리스트와는 다르게 이름표를 달아서 저장할 수 있는 공간

 

이름표는 key라고 부르고 이름표에 달려 저장된 값은 value이다

 

마치 사전과 비슷함

 

원하는 값을 가지고 오고 싶다면? dict[key] 형태로 가져온다

 

 

6. 딕셔너리 예제코드

 

dust = {'영등포구':58, '도봉구':40, '강동구':70, '강남구':60}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형태로 만든다

 

영등포구의 미세먼지 농도를 알고 싶다면? 영등포구라는 key를 써서 불러온다

 

dust[영등포구] = 58

 

#dict는 {}를 이용해서 선언
#{식별키:값}형식으로 저장

dust ={'영등포구':58, '강남구':40, '서대문구':54, '도봉구':70, '강동구':23, '종로구':50}

#영등포구의 미세먼지 농도를 알고싶다면

#리스트처럼 대괄호를 이용해서 그 값에 해당하는 key를 넘겨준다
#dict[key] > value

print(dust['영등포구'])
print(dust['강남구']) #강남구의 미세먼지 농도

#점심메뉴 리스트를 사용해서 딕셔너리를 만들어보기
#점심메뉴:칼로리

kcal = {'소고기미역국':736,'뼈해장국':645,'함박스테이크':559,'애호박찌개':807,'참치볶음밥':986,'제육볶음':698}

#참치볶음밥의 칼로리를 알고싶다면
print(kcal['참치볶음밥'])
TAGS.

Comments